2024. 12. 22. 11:25ㆍ취미/야구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pbKE/btsLtJqKCZx/bevEfNzykv95LVE9azwyMk/tfile.jpg)
세이버메트릭스(Sabermetrics)
야구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입니다. 이 용어는 SABR(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)와 Metrics의 합성어로, 1971년에 창립된 미국야구연구협회에서 유래되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Xn0W/btsLtXh6evw/s1nJJyocY09RtsFzPk40BK/tfile.jpg)
세이버메트릭스의 정의와 목적
세이버메트릭스의 창시자인 빌 제임스는 이를 "야구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찾고자 하는 연구"라고 정의했습니다.
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:
득점 생산능력과 실점 억제능력의 객관적 평가
선수 개인의 독립적인 능력과 가치의 평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boMDW/btsLqZovIq8/jqGlUjuf6CJ6qOHEIkuHik/tfile.jpg)
세이버메트릭스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며, 2000년대 들어 '머니볼'의 성공 이후 대부분의 MLB 구단에서 채택하여 전력 분석에 활용하고 있습니다. 현재는 선수 영입, 전략 수립, 훈련 방법 개선 등 야구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, 웨어러블 기기 등 신기술의 도입으로 그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.
세이버메트릭스의 영향과 발전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5Ec3R/btsLsCsbr5q/FuKOtqmIqgTeeTLC8Wqndk/tfile.jpg)
세이버메트릭스 지표
세이버메트릭스는 야구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, 다양한 통계적 지표를 활용합니다. 주요 세이버메트릭스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: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V01I/btsLrIzK601/KerIRfEmVrf2IFg7Xkb9kK/tfile.jpg)
공격 관련 지표
1. OPS (On-base Plus Slugging)
- 출루율(OBP)과 장타율(SLG)을 합친 지표로,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력을 나타냅니다
- OPS = OBP + SLG
OBP (출루율) = (안타 + 볼넷 + 사구) / (타수 + 볼넷 + 사구 + 희생플라이)
SLG (장타율) = 총루타 / 타수
2. wOBA (Weighted On-Base Average)
- 타자의 각 결과(안타, 2루타, 홈런 등)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지표입니다
wOBA = (0.72 × BB + 0.75 × HBP + 0.90 × 1B + 1.24 × 2B + 1.56 × 3B + 1.95 × HR) / PA
BB: 볼넷, HBP: 사구, 1B: 1루타, 2B: 2루타, 3B: 3루타, HR: 홈런, PA: 타석
3. wRC+ (Weighted Runs Created Plus)
- 리그 평균과 구장 효과를 고려하여 타자의 공격 가치를 측정합니다.
wRC+ = (((wRAA / PA + League R / PA) + (League R / PA – Park Factor * League R / PA)) / (AL or NL wRC / PA excluding pitchers)) * 100
여기서:
wRAA: Weighted Runs Above Average
PA: Plate Appearances (타석)
League R / PA: 리그 평균 득점 / 타석
Park Factor: 구장 요인
4. BABIP (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)
- 인플레이로 이어진 타구에 대한 타율을 계산하는 지표입니다.
BABIP = (안타 - 홈런) / (타수 - 삼진 - 홈런 + 희생플라이)
5. K% (타석당 삼진 비율)
K% = 삼진 수 / 타석 수
6. BB% (타석당 볼넷 비율)
BB% = 볼넷 수 / 타석 수
7.wOBA (Weighted On-Base Average): 타자의 각 결과(안타, 2루타, 홈런 등)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지표로,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 능력을 평가
리그 평균 wOBA: 일반적으로 약 0.320~0.330
0.400 이상이면 우수 0.300 이하면 못하는 것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Ui5z/btsLqYiOOAp/xzKdYPozF0Rkaxc2jtTtl1/tfile.jpg)
8.wRC+ (Weighted Runs Created Plus)
타자의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세이버메트릭스 지표
wRC+ = (((wRAA / PA + League R / PA) + (League R / PA – Park Factor * League R / PA)) / (AL or NL wRC / PA excluding pitchers)) * 100
wRAA: Weighted Runs Above Average (가중 득점 기여도)
PA: Plate Appearances (타석 수)
League R / PA: 리그 평균 득점 / 타석
Park Factor: 구장 요인
AL or NL wRC / PA: 아메리칸 리그 또는 내셔널 리그의 투수를 제외한 타자들의 평균 wRC / PA
그 외 지표
타구 방향 비율 (Pull%, Cent%, Oppo%)
타구의 방향을 당겨친 비율, 중앙으로 친 비율, 반대편으로 친 비율로 나타냅니다.
타구 강도 비율 (Soft%, Med%, Hard%)
타구의 강도를 약한 타구, 중간 강도 타구, 강한 타구로 분류하여 비율을 나타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lkL7/btsLsA8YQcG/RK54GASQfn0RSrHoWbdSI0/tfile.jpg)
수비 관련 지표
UZR (Ultimate Zone Rating)
수비하는 구역에서 얼마나 많은 점수를 막아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7lEC/btsLqSCYirK/AXYr7kGf0Rf0PoXDD5kl1K/tfile.jpg)
야구장을 64개의 구역으로 나눕니다.
각 구역에 떨어진 공의 가치를 점수(Average Run Value)로 환산합니다.
UZR = RngR + ErrR + ARM + DPR
RngR (Range Runs): 수비 범위
ErrR (Error Runs): 에러 횟수
ARM (Outfield Arm Runs): 외야수의 송구 능력
DPR (Double-Play Runs): 내야수의 더블플레이
기준으로 양수면 평균 이상, 음수면 평균 이하의 수비력을 의미
+15점이면 골든글러브, -15점이면 리그 퇴출 수준으로 평가됩니다.
DRS (Defensive Runs Saved)
선수의 수비로 인해 막은 실점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UZR보다 더 세밀하게 구역을 나눕니다.
DRS = 각 수비 요소의 점수 합계
rGFP (Good Fielding Plays): 좋은 수비 플레이
rSB (Stolen Base Runs Saved): 도루 저지 능력 (포수)
rBU (Bunt Runs Saved): 번트 수비 능력
rGDP (GDP Runs Saved): 병살타 유도 능력
양수면 평균 이상, 음수면 평균 이하의 수비력을 의미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ESMW/btsLtGHz6Sq/A18B1UEFxkgfMrKDKDYkl1/tfile.jpg)
## 투수 관련 지표
1. FIP (Fielding Independent Pitching)
- 투수가 통제할 수 있는 요소(삼진, 볼넷, 홈런)만을 고려한 평가 지표입니다.
FIP = ((13 × HR) + (3 × (BB + HBP)) - (2 × K)) / IP + 상수
HR: 홈런, BB: 볼넷, HBP: 사구, K: 삼진, IP: 이닝 수
상수: 리그 평균 ERA와 FIP를 일치시키기 위한 값
2. xFIP (Expected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)
- FIP를 기반으로 하되, 실제 홈런 수 대신 예상 홈런 수를 사용합니다
xFIP = ((13 × (FB × 리그평균 HR/FB%)) + (3 × (BB + HBP)) - (2 × K)) / IP + 상수
FB: 플라이볼 수
3. WHIP (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)
- 이닝당 출루 허용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
WHIP = (안타 + 볼넷) / 투구 이닝
단
몸에 맞는 공(사구)은 WHIP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고의사구(고의 4구)는 일반 볼넷과 구분 없이 포함됩니다.
4. SIERA (Skill-Interactive Earned Run Average)
투수의 성과를 더욱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고급 세이버메트릭스 지표
SIERA = 6.145 - 16.986(SO/PA) + 11.434(BB/PA) - 1.858((GB-FB-PU)/PA) + 7.653((SO/PA)^2) +/- 6.664(((GB-FB-PU)/PA)^2) + 10.130(SO/PA)((GB-FB-PU)/PA) - 5.195(BB/PA)*((GB-FB-PU)/PA)
SO: 삼진 아웃
BB: 볼넷
PA: 타석 수
GB: 땅볼 수
FB: 플라이볼 수
PU: 팝업 수
투수의 실제 기량을 더 정확히 반영하려고 시도하며, 특히 다음 시즌의 ERA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표
4. ERA+ (Adjusted Earned Run Average)
투수의 성적을 리그 평균과 구장 효과를 고려하여 조정한 지표
ERA+ = (리그 평균 ERA / 투수의 ERA) * 100 / 파크 팩터
리그 평균 ERA: 해당 시즌 리그의 평균 ERA
투수의 ERA: 평가 대상 투수의 ERA
파크 팩터: 구장의 득점 환경을 나타내는 계수 (1보다 크면 타자 유리, 작으면 투수 유리)
ERA+ 100은 리그 평균 수준을 의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xexx/btsLsjzHdY5/am7dYuKIciLKCkN33gxdck/tfile.jpg)
포수 관련 지표
1. Defensive Runs Saved (DRS)
- 포수의 전반적인 수비 능력을 평가하는 종합 지표입니다.
- 블로킹, 송구, 프레이밍 등 다양한 수비 요소를 포함합니다.
DRS = rSB + rCERA + rBUNT + rGFP + rPM
rSB (Stolen Base Runs Saved): 도루 저지 능력
rCERA (Catcher Earned Run Average): 투수 관리 능력
rBUNT (Bunt Runs Saved): 번트 수비 능력
rGFP (Good Fielding Plays): 좋은 수비 플레이
rPM (Plus Minus Runs Saved): 수비 범위와 타구 처리 능력
2. Catcher Framing 프레이밍
- 포수가 투수의 공을 받아 스트라이크로 보이게 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.
- 경계선 상의 공을 스트라이크로 유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.
Framing Runs = (실제 스트라이크 수 - 예상 스트라이크 수) * 0.125
0.125는 스트라이크당 평균 득점 가치
a) 각 투구에 대한 스트라이크 확률 계산:
P(스트라이크) = f(투구 위치, 카운트, 투수, 타자, 심판 등)
b) 실제 판정과 예상 확률의 차이 계산:
Δ = 실제 판정 (1 또는 0) - P(스트라이크)
c) 모든 투구에 대해 차이를 합산:
총 프레이밍 가치 = Σ(Δ * 0.125)
ABS 도입으로 무의미해 짐Framing+ = (선수의 프레이밍 가치 / 리그 평균 프레이밍 가치) * 100
3. Caught Stealing Percentage (CS%)
- 도루 저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- 포수의 송구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.
CS% = 도루 저지 횟수 / (도루 성공 횟수 + 도루 저지 횟수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ZzGa/btsLttVRkTM/YWBB8ng7RFIWlJuVeENEU0/tfile.jpg)
## 종합 평가 지표
1. WAR (Wins Above Replacement)
-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를 나타내는 종합적인 지표입니다.
- 타자와 투수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지표로, 선수의 전반적인 가치를 평가합니다.
WAR = (RAA + 대체선수 조정값) / 승리당 득점
RAA (Runs Above Average): 리그 평균 대비 추가 득점 기여
RAA = wRAA + BsR + Def
wRAA: 가중 타격 득점
BsR: 주루 득점
Def: 수비 득점
2. OPS+(Adjusted OPS)
- OPS를 리그 평균과 비교하여 보정한 지표입니다.
- 100을 기준으로, 100보다 높으면 리그 평균 이상의 성적을 의미합니다.
OPS+ = 100 * ((OBP / lgOBP) + (SLG / lgSLG) - 1) / 파크팩터
OBP: 선수의 출루율
SLG: 선수의 장타율
lgOBP: 리그 평균 출루율
lgSLG: 리그 평균 장타율
파크팩터: 구장 효과를 나타내는 계수
이러한 세이버메트릭스 지표들은 전통적인 야구 기록보다 더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선수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게 해 줍니다. 이를 통해 팀 운영, 선수 영입, 전략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가능해졌습니다.
'취미 > 야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성라이온즈 응원가 모음2024 (0) | 2024.08.05 |
---|---|
한국 야구박물관 명예의 전당 유물 기증 공고 (0) | 2024.03.27 |
2024 MLB 서울시리즈 티켓 예매 방법 (0) | 2024.01.23 |
[야구 예능] 치달녀 멤버 (0) | 2024.01.21 |
KBO 치어리더. gif (0) | 2021.04.29 |